[경남도민일보] 경남 사회적경제, 일부빼고 전멸 상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작성일15-11-06 00:00 조회6,536회 댓글0건요약글
요약글 :관련링크
본문
경남지역 사회적경제와 관련해 다양한 문제 제기와 쓴소리가 쏟아졌다. 지난달 29일 오후 경남과학기술대에서 열린 '청년 사회적경제 콘퍼런스 및 사회적경제 한마당'(10월 28~30일) 학술세미나에서다.
경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 김석호 본부장은 '경남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발표에서 "도내 협동조합은 지난 9월 말까지 290여 개가 설립됐지만, 지속 가능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을 사회적 가치가 아니라 매출, 심지어 인증 심사에서도 부채 비율 등 기준을 두며 판단하는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아울러 김 본부장은 "사회적기업 설립 이후 재정 지원이 경영에 도움이 됐다고 하지만, 도내 사회적기업 10% 정도를 제외하고 자본이 탄탄하지 않은데다 금융권 대출도 어려운 구조다. 협동조합도 그 의미와 정신을 살리며 활동하는 곳이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느꼈다"며 "전문가가 마케팅 등 부문에 상시로 도움을 줘야 하는데, 현재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은 대표자 한 사람이 기술 개발이든 영업이든 모든 일을 다 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29일 경남과학기술대에서 '청년 사회적경제 콘퍼런스 및 사회적경제 한마당'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왼쪽부터 김진수 창원사회적기업협의회장, 경남과학기술대 경제학과 송원근 교수, 박종현 교수, 곽운학 작은기업연구소 소장. /이동욱 기자 |
토론자로 나선 김진수 창원사회적기업협의회장(늘푸른자원 대표)은 "시간이 갈수록 사회적기업이 이윤이라는 함정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사회적기업을 한 이유가 이윤을 떠나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기 위해서인데, 효율성이란 이름으로 사회적기업들이 또 다른 위기에 빠진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가 잘하는 일을 선택하기보다는 불법 방치 또는 폐기돼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오는 전자 폐기물 재활용 문제와 일자리를 못 구하는 지역사회 사람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 사업을 시작했었다"며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일을 하고 있기에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 이것이 사회적기업 생존의 전략이다"고 덧붙였다.
곽운학 작은기업연구소 소장(경남과학기술대 사회적경제연구소 멘토)은 "경남은 18개 시·군 가운데 창원, 진주, 김해, 거창 등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사회적경제가 거의 전멸 상태다.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는데, 경남 안에서도 특정 지역에 편중된 현상이 있다"고 지적했다.
곽 소장은 "사회적경제 현장, 중간지원조직, 대학 등이 유기적으로 돌아가야 이상적"이라며 "지원센터와 같은 중간지원조직은 강원도 사례를 볼 필요가 있다. 센터의 목숨 줄을 관에서 쥐는 게 아니라 자활 조직,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60여 명 이사가 포진돼 중간지원조직 교체가 쉽지 않다. 민관 협치 형태로 민주적으로 운영돼야 하고, 경남 전체를 아우르는 대표성 있는 단체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센터가 전문 컨설턴트 지원을 이뤄내고, 교육 방식도 개선해야 한다. 담론 수준에 머물면 곤란하고,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실제 경영을 교육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남과학기술대 경제학과 송원근 교수는 "중간지원조직이 인건비 등으로 관에 매여 있다 보니 쓴소리를 못하는 것 같다. 다양한 제안을 계속 해야 한다"면서 "현장을 잘 모르지만, 사회적경제 조직들도 너무 좋은 환경에서만 사업하려고 하는 것 같다. 회계 등에 전문가 고용이 필요하면 해야 한다. 아니면 스스로 열심히 배워야 한다. 그리고 핵심 역량은 사업계획서 작성이나 회계 등이 아니라 결국 지역사회에서 발을 넓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원문보기 [2015. 11. 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