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투데이/1109]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 바란다 > 보도자료 | 강원지속가능경제지원센터
 

[원주투데이/1109]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 바란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작성일20-12-01 10:24 조회1,561회 댓글0건

요약글

요약글 :

본문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 바란다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 자생적으로 성장해 온 사회적경제 조직의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시작부터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951faa3170c73bbd24b5e48ce97a4aa5_1606785847_095.jpg

얼마 전 원주에서 코로나가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에도 의미있는 행사가 열렸다. 지역의 민간네트워크 단체에서 주관한 생명협동포럼이었는데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 대해 지역 주민, 이해 당사자, 산업자원부, 강원도, 중간지원조직 등이 함께 모여 의논하는 자리라 더욱 뜻깊었다.

 지난 8월 홍남기 부총리는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 기업의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며 오는 2022년까지 6만4천명의 일자리 창출 목표를 세우고 사회적경제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정부의 사회적경제 지원으로 원주시가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 하나는 지난해 상지대학교 안에 설치된 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이고 다른 하나는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다.

 

 이번 포럼을 준비하는 수 차례의 토론 과정에 정부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하드웨어 중심의 지원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국가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고용불안 그리고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부의 주요한 정책영역의 하나로 급부상하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이고 긍정적이나 자칫 사회적경제가 국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여겨지게 되는 것은 장기적으로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 자생적으로 성장해 온 사회적경제 조직의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몇 가지 고민을 나누고자 한다.

먼저 혁신타운 조성 사업의 추진 주체는 강원도이나 설치 예정 지역은 원주이기 때문에 원주시가 좀 더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 뒷짐 지고 있다 다 된 밥상에 숟가락만 얹겠다는 생각은 영리한 것 같지만 추진 과정에 주도성을 가질 수가 없게 된다.

 

 두 번째는 혁신타운은 사회적경제조직과 당사자 조직 그리고 중간지원조직의 집적화로 협연과 혁신을 통해 사회적경제를 활성화 하는 공간이므로 주체들간의 이해와 요구가 충분히 수렴되고 토론과 논쟁을 통해 공간의 기능과 역할을 함께 만들어 가야 한다. 컨설팅 업체가 세 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했다지만 구조화된 설문만으로는 사실 사회적경제기업들의 필요와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기도 어렵고 그렇게 마련한 밑그림은 결국 용역업체의 것일 뿐 이용자의 것이 될 수 없다. 코로나의 영향도 있지만 강원도와 용역업체의 소극적 의견 수렴과정은 일방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밖에 없고 이용자들의 결정이 배제된 공간은 결코 지속가능한 공간이 될 수 없다.

 

 세 번째는 기존 시설이나 공간과 기능과 역할이 중복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강원도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지만 원주에 설치되기 때문에 주로 원주의 관련 기업이나 조직이 입주할 수 밖에 없고 기업의 성장을 위한 생애주기별 종합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그런데 원주에는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와 성장지원센터가 있다.

 

 자칫하면 혁신타운을 채우면 성장지원센터가 비워질 것이고 성장지원센터를 채우면 혁신타운이 빌 것이다. 강원도내 타 지역 사회적경제 기업이 원주에 있는 혁신타운에 입주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고 그래서도 안된다. 그렇잖아도 원주시 인구 증가의 주된 요인이 도내 시·군 유입으로 타시·도 유입의 두 배 가까운데 혁신타운 마저 인근 시군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돼서는 안 될 일이다. 지금 현재 원주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역량과 숫자에 맞는 적정한 시설인가를 고려한 공간 구성을 하거나 시설에 따른 기능과 역할이 구분되어야 한다.

 

 네 번째는 지역사회 중심의 혁신타운 건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워킹그룹이나 공동학습회 등을 구성해야 한다. 지역주민, 사회적경제기업, 중간지원조직, 전문가 등이 주체가 돼 필요와 요구를 수렴하고 협동 지성을 발휘해 밑그림을 그리고 공론화를 통해 만들어 나갈 때 혁신타운이 지역사회 문제해결의 거점이자 기업의 집적화를 통한 활성화, 그리고 혁신의 공간으로 센터 설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자칫 수백억의 예산을 들여 설립한 강원혁신타운이 흔하디 흔한 창업보육센터 그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거나, 오히려 자생적으로 성장해 오던 사회적경제 진영에 위기를 초래하거나,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 후 10여 년 넘게 황폐화 된 우산동의 공동화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채  지역 주민의 실망감만 더욱 키우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지역주민 모두 관심을 가지고 시작부터 단추를 잘 꿰어야 할 때이다.


용정순 전 원주시의원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